Daily Pong/독서퐁(8)
-
1984, 조지오웰
1984 Type: novel, social author: 조지 오웰 date: 3/14 생각하는 사회인이 되기위해 노력해야 하는 이유 이 소설의 시작 사실 이 책은 좋아하는 도서 편집샵인 1984의 시그니처 로고로, 컬렉션으로 나온 책이다. 항상 읽어야지 하는 고전 중 하나지만, 어려워 보여 읽지 못했던 책 중 하나이다. 그래서 이 책은 2016년도, 나에게 가장 컸던 한국사회의 이슈. 그때부터 사회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책을 구매했다가 일상을 찾은 후로는 마음 한켠에만 존재했던 책이었다. 그래서 이번 졸업작품으로 준비하는 덕분에 그저 운명처럼 과거의 현명한 사람과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싶어서, 드디어 이 책의 첫장을 읽게되었다. 우리의 졸업작품에서는, 사회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싶었다. 사회를 ..
2020.03.16 -
변신, 프란츠 카프카
변신 외 단편 모음집, 프란츠 카프카 `판결, 변신, 시골 의사, 갑작스러운 산책, 옷, 원형극장의 관람석에서, 오래된 기록, 법 앞에서, 학술원에의 보고` 수록 첫인상 이 책을 처음 보았을 때를 생각해보면 서점에서 들고다니면서 읽을 책을 찾다가, 1916년 오리지널 초판본 표지디자인으로 되어있는 모습이 괜히 끌렸던 것 같다. 그래서 그 책을 바로 펴보았고, 단편 모음이라는 것도 모른 채 그저 몇장을 읽어보고 문장 구성이 마음에 들어 구매했다. 스타일이 그저 끌렸다. 사실 책을 구매한 지 한 3개월 후에 처음 책을 읽으려 들었기 때문에 큰 그 끌림등은 잊은지 오래였다. 😌 이 책은 내가 항상 뭔가 문체가 끌려서, 뭔가가 끌려서였던 적은 사실 적지 않다. 하지만, 이렇게 정말 아무도 추천한 적 없는 책이 ..
2020.02.03 -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
간직하고싶어서 기록해보는 알랭 드 보통의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의 글 꾸러미 낭만주의 결혼관은 '알맞은' 사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는 우리의 허다한 관심사와 가치관에 공감하는 사람을 찾는 것으로 인식된다. 장기적으로 그럴 수 있는 사람은 어디에도 없다. 우리는 너무 다양하고 특이하다. 영구적인 조화는 불가능하다. 우리에게 가장 적합한 파트너는 우연히 기적처럼 모든 취향이 같은 사람이 아니라, 지혜롭고 흔쾌하게 취향의 차이를 놓고 협의할 수 있는 사람이다. '알맞은' 사람의 진정한 표지는 완벽한 상보성이라는 추상적 개념보다는 차이를 수용하는 능력이다. 조화성은 사랑의 성과물이지 전제 조건이 아니다. -p.283 “자긴 또 특유의 화나고 치욕스러운데 이상하게 조용한 상태”야. 어느날 저..
2019.05.29 -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낭만적 연애와 그 후의 일상, 알랭 드 보통 모두가 외면하고있던것들의 진실된 토론 진정한 관계의 어른이 되어가는 방법을 말해주는 책 극도로 이성적인 사람마저도 그의 소설로 없던 감성까지도 생성될 것 같은, 그의 문체와 작품은 말로 할 것 없이 완벽하다. 알랭드 보통에게 책이란 그는 세상 사는 방법을 정말 잘 알고있는것같다. 아니, 사실은 세상을 사는 방법을 알기보다는 생각을 하는 방법을 잘 알고있다. 모든것을 그의방식으로 세상에 이끌어내고, 그만의 생각으로 우리모두를 위로해준다. 게다가 그 생각은 분명 우리가 입밖으로 형언할 수가 없었던 어떤 희미한것 들인것같다. 사람들에게 책이란 그래서 사람들은 책을 통해서 많은것을 배운다고 하는 것 같다. 그 추상적이게도 두루뭉술하게 묶여진 많은것들은, 생각의 언어를..
2019.05.28 -
우리는 사랑일까
알랭 드 보통, 우리는 사랑일까 알랭드보통의 책은 나에게 생각의 언어를 가르쳐준다 상상속에서 이별과 잊기싫은 사랑의 순간의 롤러코스터를 수백번 타게되는 우리가 직면하기싫은 사랑이어려운이유, 찌질함과 인간에대해 아직 잘 알지못하는 상황에대해 생각하는것을 도와준다 나는너를왜사랑하는가 가 나와 너에대한것이라면 이책은 나와우리에 관한것 나와 너와 그떄의 나와 다른이의 마음을 너무 잘 알아서, 한장한장을 넘길 때 마다 숨막히는 책 사랑이 신이었음을 갈망하고 희망하는 몽상가들의 이야기
2019.05.28 -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사랑을 왜 하는가? 사랑에 관한 본질적인 질문이 던져졌고 답은 언제 찾게될지 모른다. 무수히 다양한 형태의 사랑이 존재할 것이고, 형태의 기준 또한 단정짓는 순간 변화 하듯 끊임없이 변화할 것이다. 180721
2019.05.28